
1. 학명: Desmodium podocarpum var. oxyphyllum (DC.) H. 2. 과: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3. 형태적 분류 줄기 잎 꽃 열매 줄기: 여러해살이로 땅속줄기(地下莖)를 벋으 며, 큰 무리를 만든다. 잎: 뿌리에서 난 잎(根生葉)이 잎자루가 긴 로 제트모양이다. 잎 가장자리는 물결치듯 하고, 나란히 맥처럼 보이는 유관속 다발이 잎 뒷면 에 뚜렷하게 보이며, 잡아당기면 질기고, 엽 질(葉質)도 억센 편이다. 꽃: 5~8월에 뿌리에서 직접 꽃대(花莖)가 나 와 직립하고, 백색 꽃이 밑에서부터 위로 순 차적으로 이삭꽃차례모양(穗狀)으로 밀생한 다. 열매: 여윈열매(蒴果)로 뚜껑이 열리듯이 익 으면 옆으로 터지면서, 흑색 종자 6~8개가 튕 겨져 나오며, 물기를 접하면 점액이 생긴다. 생물학 특징: 약효가 뛰어남: 여성들의 신장기능이 약한 사람에게 도움. 신장기능이 좋은 사람이 먹을 경우는 역효과가 남. 반드시 검사 후 복용 씨앗의 효능 : 차전차(한방이름), 수레차 차로먹을경우 장기적으로 좋다. 나물은 꽃대가 올라오기 전에 먹어야 질기지 않고 맛이 좋다. 문화적특징: 전쟁 중 피오줌을 싸던 말이 질경이를 뜯어먹고 효능이 낫는 모습을 보고 효능을 알게됨, 말이 콩팥에서 피가 안나기 시작함 질경이 4. 생태분류 질경이 - 생명력이 가장 질기다. 의학적 목적으로 쓸 수 있다. 전쟁터에 활, 창, 칼이 난무 해 스트레스를 받 아 말들이 피오줌을 눴는데, 질경이를 뜯어 먹는 말은 피오줌을 누지 않았다. 콩팥의 부신에서 스트레스호 르몬이 엄청나게 나와 콩팥이 제 기능 을 못 할 만큼 피가 나왔는데 질경이를 먹은 말은 콩팥에서 피가 안 나왔다. 맑 은혈액으로 이루어진 몸의 조장장치인, 신장의 기능이 정상인 것을 보여주게 됐 다. 그래서 사람 에게도 적용이 될까? 해서 즙을 스트레스 받은 사람에게 먹였더 니 정말 나았다. 그 진짜 효능은 씨앗에 있 었다. 수레가 지나간 자리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다하여 ‘차전자(수레차, 구를전, 씨앗자)’라고 한의학에서 는 부르는 데 여성들의 신장기능 강화에도 많은 효가가 있다. 그런데 건강한 사람이 먹으면 신장이 약화된 다. 잎을 차로 먹으면 신장과 피부에 좋다. 이때는 환자와 상관없 다. 꽃대가 올라오기 전에 나물로 무쳐 먹 는다. 꽃대가 올라오면 너무 질기다.